본문 바로가기

주절주절

금리인상과 돈의 흐름

최근 증시, 코인 모두 급격한 변동성과 하락을 보여준다.

그 이유는 무엇일까?

 

인플레이션일시적이라던 입장의 미 연준(FOMC)가 입장을 바꾸었다.

인플레이션구조적이다..

 

인플레이션이 일시적?
인플레이션을 잡기 위한 금리인상 예고

 

이러한 입장을 내비친 연준은 인플레이션을 억제하려는 액션을 취해야 하며

그 방법은 금리인상적 긴축이다.

 

1. 경제 흐름 알아보기(순서대로) 

 1) 좋지 않던 시장에 COVID-19가 발생

 2) 코로나로 어려워진 시장을 살리기 위하여 양적완화(금리인하 & 달러 공급 증가) 실시

 3) 과도한 양적완화로 인하여 인플레이션 발생(코로나로 인한 공급망 붕괴로 인플레이션 가속화)

 4)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한 금리인하 & 양적 긴축 실시

   * 기존 금리인상 : 경제 호황기에 금리인상

      why? : 경제 호황기에 금리를 인상해야, 경제 불황이 왔을때 금리인하(양적완화)를 할 수 있어서

   ** 현 금리인상 : 경제 호황기가 아닌 공급망 붕괴상태에서의 인플레이션 억제를 위한 금리 인상

 

2. 금리인상과 금융시장의 관계

금리인상이 되면 투자자산(증시, 코인, 부동산 등)이 왜 가격이 하락하는가?

  => 저금리시대에는 은행에 예금을 해도 이자수익이 적음

      but, 금리가 높아지면 예금의 이자수익이 증가함.

      따라서 리스크를 감수하며 투자를 하기보다는 은행으로 돈이 흘러감.

 

3. 미국의 금리인상과 한국과의 관계

 Q. 미국의 금리가 한국의 금리보다 크면?  

 A. 한국에 투자되고 있는 자금이 미국으로 빠져나간다

 why? : 미국에 투자하는 것이 한국에 투자하는 것 보다 높은 수익, 안전성, 신뢰성을 가져다주기 때문

 

4. 결론

  양적완화의 결과로 달러의 화폐가치가 하락하고 인플레이션율이 상승하였다.

 구조적인 인플레이션을 해결하기 위하여 FOMC는 3월 금리 인상을 예고하였다.

 미래에 대한 기대감에 움직이는 증시는 이러한 시그널로 크게 하락하였다. 

  앞으로 몇 번의 금리인상이 더 있을지는 모르지만, 양적완화의 영향으로 크게 올랐던 증시는

 긴축의 정도에 따른 추가 하락이 있을 수 있다는 경계심을 갖고 투자시장에 접근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반응형